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상한마케팅 채용
- 동기부여
- 전자책
- 마케팅 글쓰기
- 블로그하는법
- 글잘쓰는법
- 자기계발
- 글쓰는법
- 블로그 글쓰기
- 글쓰기
- 자청블로그
- 초사고글쓰기
- 일못러
- 레벨업
- 자청계열사
- 자청계열사 합격
- 이상한마케팅 합격
- 이상한마케팅
- 프로야근러
- 황금지식
- 돈버는법
- 글 잘쓰는법
- 글쓰기 챌린지
- 무자본 창업
- 초사고 글쓰기
- 프드프
- 일잘러
- 자청
- 역행자
- 쉬운글쓰기
- Today
- Total
목록Writing/초사고 글쓰기 (31)
크리에이터 NOBLE

저는 IT부서에서 일하고있습니다. 오늘 업무를 하던 중, 50대가 넘은 상사분이 저에게 말했습니다. "우리 회사 홈페이지 게시판 댓글들을 보면 댓글이 최신순이 아니라, 작성한 시간 순서대로 나와 있네요. 최신순으로 떠야 사람들이 보기 편하지 않나요?" 제가 대답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를 보아도 일반적으로 댓글은 작성한 순서대로 나와 있습니다. 글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댓글에도 내용의 흐름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보기에도 작성한 시간순서대로 나오는게 편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의문이 들어 블로그가 아니라 다른 형식의 글, 뉴스 기사를 찾아 보았습니다. 신문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기사에서는 공감을 많이 받은 순, 그리고 최신순으로 댓글 정렬을 하고 있더군요. 보자마자 이런 생각이..

블로그 글쓰기를 시작할까 고민하시는 분들, 매일 글쓰기의 효과를 알고 싶은분들 주목하시길 바랍니다. 우리가 블로그, 글쓰기를 처음 시작할 때 자주하는 다짐이 있습니다. '매일 1개씩 포스팅해야지', '하루에 글 1개정도는 써야겠다' 바로 1일 1글 다짐입니다. 그런데 막상 시작 해보려니 엄두가 안나고, 시작은 했어도 시간이 지나면 다짐은 지키기 어려워지죠. 그래서 제가 한번 해봤습니다. 2022년 1월 25일, 글쓰기 챌린지를 시작한 후 부터, 저는 22일동안 매일 빠짐 없이 글을 작성했습니다. 22일동안 저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한번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사진을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 위 사진은 22일동안 제가 작성한 블로그 포스팅의 글자수를 모두 더한것입니다.(공백 제외) 이것을 22일로 나누..

안녕하세요. 남중-남고-공대-군대 출신 개발자입니다. 대학교는 컴퓨터공학과를 나왔고, 현재는 자동차 회사의 IT부서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왜 자기소개를 하냐구요? 그냥 뼛속까지 공대생이라고 얘기하고 싶었습니다. 우리 공대생은 남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이과충'이라는 단어를 많이 듣습니다. LiFe를 보면 철화 리튬이, 염소를 보면 Cl이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이과생은 문학적인 부분이 부족하다고 다들 생각하시죠? 사실 맞습니다. 개발자인 저는 가끔 대화보다 컴퓨터 언어가 편할 때가 있어요. 그런데 말입니다. 우리 공대생, 특히 개발자들이 잘하는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디버깅'입니다. 디버깅의 의미를 한번 짚고 가겠습니다. 디버깅은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단계 중에 발생하는 시스템의 논리적인 오류나..

SEDA 법칙의 E는 easily, D는 divide를 말합니다. E는 글을 쉽게 써야 한다는 것, D는 문단을 나눠야 한다는 것인데요. 마침 스티븐 킹이 쓴 '유혹하는 글쓰기' 책에서 두 가지를 설명하기 좋은 예시가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바로 한번 보겠습니다. "이 생물의 조직 형태는 생래적으로 피혁처럼 질기고 억센 것이었으며 동반구 무척추동물의 어느 진화 단계에 해당하는 듯했으나 우리로서는 도저히 추량할 길이 없었다." - H.P. 러브크래프트, "어떤 화분에서는 무엇을 심은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또 어떤 화분에는 갈색으로 시들어버린 줄기가 남아 불가해한 침탈을 증언하고 있었다." - T. 코라기선 보일, 읽으면서 머리가 좀 아파지셨나요? 다음 두 문단을 다시 읽으면서 머리를 식혀보세요..

성공하고 싶으면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라. 성공하고 싶으면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결과를 내는 성공을 한 사람들은 높은 확률로 옳은 말을 하고 있다는것입니다. 우리는 성공하고 싶어서 성공한 사람들의 책을 읽어보고, 유튜브 영상을 보기도 하고, 강의를 듣기도 합니다. 성공을 하고 싶은데도 그 방법을 모르거나, 그들만의 성공 방법을 알고 싶기 때문이기도 하죠. 그런데, 막상 책을 읽고나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를때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람들은 구체적인 방법보다 큰 흐름을 좋아한다. 자기계발 유튜버 TOP으로 꼽히는 자청님과 신사임당이 나눈 이야기를 보았습니다. 유튜브에 성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올려도 사람들이 보지 않는다. 사람들은 구체적인 이야기 보다는..

'발 없는 말이 천리간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랴'등, 여러분이 알고 있는 속담은 수도 없이 많을텐데요. 속담은 대부분 오래전부터 내려온것이 많고, 다른 문화권이라고 하더라도 언어나 표현방법이 다를 뿐 의미가 유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속담이 유난히 우리 기억에 잘 남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신적 있나요? 속담의 특징은 긴 경험들이 모여 만들어진 짧은 문장이라는 것입니다. 하나의 문장 속에 많은 사람들의 압축된 지혜와, 삶이 담겨있습니다. 사람들은 속담을 들었을 때 속담의 진정한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기도 하고, 자신이 했던 행동들과 사고방식의 기준으로서 적용해보기도 하는데요. 그만큼 속담의 단순함 속에는 심오한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SEDA의 법칙 중 S인 Shortly는 문장은 짧고 간결해야 ..

지난 시간에 글쓰기 치트키 SEDA법칙에 대한 설명을 했었는데요. 간단히 복습하고 넘어가겠습니다. SEDA는 Shortly, Easily, Divide, Again의 줄임말입니다. SEDA의 핵심은 글을 간결하게 쓰고, 내가 쓴 글을 다시 한번 살펴본 뒤 수정하는 것 입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이론편을 한번 보시고 오는것을 추천드립니다. (https://100lv.tistory.com/19 , 네 글자만 알면 블로그 글쓰기 잘할 수 있습니다 - 이론편) 이번에는 SEDA 법칙 실전편입니다. 이전 글을 꼭 안보셔도 괜찮습니다. 제가 어떤 부분을 수정했는지 본문에 바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어떻게 고치는지 방법을 한번 보시고 여러분들도 어떤점을 고치면 좋을지 한번 생각해보시..

글쓰기 승리를 도와주는 치트키 SEDA 스타크래프트에서 SHOW ME THE MONEY라는 치트키가 있다면 글쓰기에는 SEDA라는 치트키가 있습니다. 초사고 글쓰기 챌린지에서 알려주는 이 네 글자만 알면 글쓰기를 잘할 수 있습니다. (https://100lv.tistory.com/3, 초사고 글쓰기 소개글) 블로그 글쓰기를 시작하려는 분들이면 꼭 한번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SEDA는 Shortly, Easily, Divide, Again 의 줄임말인데요. 지금부터 SEDA를 글쓰기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hortly, 글을 짧게 써라 Easily, 글을 쉽게 써라 "16세기 전반에 서양에서 태양 중심설을 지구 중심설의 대안으로 제시하며 시작된 천문학 분야의 개혁은 경험주의의 확산과 ..